안녕하세요. 오늘은 49재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49재란 고인이 돌아가신날로부터 49일째에 고인이 좋은곳으로 가시라는 의미로 제를 올리는 것인데요.
불교의식으로 49재를 올릴때 고인의 옷이나 소지품을 같이 태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49재를 계산하는 방법과 쉽고 빠르게 계산가능한 49재 계산기 까지 알아볼게요.

49재 계산 방법
49재는 49제와 혼용되어 사용되는데요. 49재가 정확한 표기입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돌아가신날을 1일로 치며 49일째가 되었을때를 49재라고 하는데요.
1일로부터 7일이 되었을때가 초재
14일이 되었을때가 2재
21일째가 되었을때가 3재
28일째가 되었을때 4재
35일째가 되었을때 5재
42일째가 되었을때 6재
49일째가 되었을때 7재
이렇게 막재인 7재가 49재가 됩니다.
보통 49재만 올리는 경우도 있고, 1재부터 7재까지 일곱번의 재를 모두 올리는 경우도 있는데요. 각각의 형편에 맞게 가족들과 상의하여 올리시면 됩니다.
49재 계산기
49재를 쉽게 알아보시려면 49재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되는데요. 보통 장례사이트에서 계산기를 많이 제공하고 있는데 아래 추모관에서도 제공중이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49재 계산기 바로가기 : http://e-yewon.co.kr/pc/info/info3.asp

49재는 집에서 올리는 경우도 있고, 절에서 올리는 경우도 있는데요. 절에서 올리는 경우 비용이 높아집니다. 또한 절에서도 막재인 49재만 올리는 경우도 있고, 1재부터 7재까지 일곱번의 재를 모두 올리는 경우도 있는데요. 비용이 많이 차이나므로 상황에 맞춰서 올리시면 됩니다.
무엇보다 고인의 영면을 바라고 좋은 곳으로 가시길 비는 가족들의 마음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그럼 글 도움되셨길 바라며 마치도록 하겠습니다.